보험에는 담보라는 것이 있습니다. 담보란 보험상품 가입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개별 계약 내용을 말합니다. 보험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옵션인셈이지요. 담보에는 반드시 선택해야하는 주계약과 특약으로 구성이 되며, 이 구성을 설계라고 합니다. 설계에 따라 1 가지 보험을 가입하더라도 여러 개의 보험을 가입한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담보 중 1~5종 수술에 대해 알아봅니다.
1. 1~5종 수술 분류는 보험, 특히 생명보험에서 수술의 위험도와 난이도에 따라 1종부터 5종까지 5단계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이는 수술비 보험금 지급 기준이 되며, 가입한 보험 상품의 약관에 따라 각 종별 해당 수술의 종류와 지급되는 보험금이 결정됩니다.
* 1~5종 수술의 일반적인 특징:
** 중요 **
- 보험사별 약관 차이: 1~5종 수술 분류표는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같은 수술이라도 종 분류가 다를 수 있으니, 가입한 보험의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수술의 정의: 약관에서 정하는 '수술'의 정의에 해당해야 보험금 지급 대상이 됩니다. 단순히 꿰매거나 째는 처치, 주사, 흡인 등은 수술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약 가입 여부: 수술비 보장은 별도의 특약으로 가입해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2. 5세대 실손보험과의 관련성:
5세대 실손보험에서는 비급여 항목에 대한 보장이 축소되고, 과거 실손보험에서 보장되었던 일부 수술들이 보장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보장 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1~5종 수술 분류 자체는 생명보험의 수술비 특약에서 주로 활용되는 개념이며, 5세대 실손보험의 직접적인 변화와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다만, 5세대 실손보험에서도 급여 항목의 수술에 대해서는 보장이 이루어지므로, 어떤 수술이 급여에 해당하고 보장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극적으로 1~5종 수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가입한 보험 상품을 꼼꼼히 살펴보셔야 합니다.
아는만큼 보입니다.